“검찰 수사발표에도 의혹 남아”, 63.8%
페이지 정보
작성자 작성일 07-12-07 14:43본문

.jpg)
지지정당별로는 한나라당 지지층만이 ‘의혹이 모두 해소됐다(48.1%)’는 응답이 ‘해소되지 않았다는 응답(43.9%)’에 비해 높게 나타났을 뿐, 그 외 정당 지지층은 ‘의혹이 해소되지 않았다’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았다. 특히 민주당 지지층이 90.1%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, 대통합민주신당(88.8%), 창조한국당(88.5%), 민주노동당(88.0%) 지지층 역시 그러한 의견이 다수를 차지했다.
지역별로는 특히 전북(83.4%), 전남/광주(73.5%) 등에서 ‘의혹이 해소되지 않았다’는 의견이 매우 높게 나타났고, 반면 한나라당의 지지텃밭인 대구/경북(57.4%) 지역에서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.
연령별로는 30대가 ‘여전히 이 후보의 연루의혹이 있다’는 의견이 78.1%로 가장 높았고, 20대(73.9%), 40대(67.9%) 순이었으며, 60대 이상 노년층은 ‘의혹이 해소됐다’는 의견이 47.1%로, ‘해소되지 않았다(35.1%)’는 의견보다 오히려 높게 나타나 의견차를 보였다.
한편 대통합민주신당이 이번 검찰 발표에 크게 반발하며 BBK수사 특검법 발의안을 제출한데 대해서는 찬성의견(44.7%)이 반대(36.2%)보다 8.5%가량 높게 나타났다. 한나라당을 제외한 다른 정당들이 모두 이번 결과를 두고 정치 검찰이라고 반발하면서, 이 후보를 지지하지 않는 유권자들이 이 사건에 대해 추가 수사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.
.jpg)
특검법에 관해서도 지지정당간 차이가 두드러져 한나라당 지지층은 특검 찬성의견이 25.6%에 그쳤고, 59.7%가 반대한 반면, 국민중심당(85.2%) 및 창조한국당(77.2%>8.1%), 대통합민주신당(72.9%>13.4%), 민노당(64.0%>18.0%) 지지층은 일제히 특검 찬성쪽으로 의견이 기울었다.
지역별로는 전북(66.7%>12.9%)과 전남/광주(58.2%>21.2%) 등 호남권에서 특검 찬성의견이 압도적으로 높았고, 인천/경기(45.0%>38.4%), 대전/충청(41.6%>34.9%) 역시 비교적 찬성쪽으로 의견이 기울었고, 그 외 지역은 찬반의견이 팽팽한 것으로 조사됐다.
성별로는 여성(45.1%>33.0%)은 특검에 찬성하는 비율이 12% 가량 높게 나타났고, 반면 남성층은 상대적으로 의견차가 크지 않았다(44.2%>39.7%). 또한 유권자의 연령대에 따라 특검을 바라보는 의견이 엇갈렸는데, 특검 찬성 의견이 가장 많은 30대(60.5%>22.5%)를 비롯해 20대(50.4%>26.6%)와 40대(43.6%>38.7%)는 특검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고, 50대(36.3%<48.0%)와 60대 이상(25.1%<53.0%) 고연령층은 특검까지는 불필요하다는 의견이 더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.
전화면접으로 12월 5~6일 실시한 이번 조사는 성, 연령, 지역별 인구비례에 따른 할당 추출법으로 전국 19세이상 남녀 1,000명을 대상으로 조사됐고, 응답률은 19.6%, 최대허용 표본오차는 95% 신뢰수준에서 ± 3.1%p였다.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